목표 이번 1주차 스터디에서는 KOPS 설치 및 사용법을 학습 할 예정이다. KOPS Kubernetes Operations(kOps) - Production Grade k8s Installation, Upgrades and Management - kOps 는 클라우드 플랫폼(aws, gcp, azure 등)에서 쉽게 k8s 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- kOps 는 서버 인스턴스와 네트워크 리소스 등을 클라우드에서 자동으로 생성해 k8s 를 설치 - kOps 는 AWS 의 다양한 서비스와 유연하게 연동되어 사용 가능 KOPS Instance 배포 # yaml 파일 다운로드 curl -O https: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cloudformation.cloud..
이전 Terraform 이론에서 배운 걸 바탕으로 실제 AWS에서 VPC 및 EC2 배포 / EKS 배포를 실습해보자 Terraform / AWS VPC 및 EC2 배포 VPC 생성default VPC가 아닌 직접 VPC 생성vpc.tf파일에 VPC 관련 코드 작성provider "aws" { region = "ap-northeast-2"}resource "aws_vpc" "myvpc" { cidr_block = "10.10.0.0/16" enable_dns_support = true enable_dns_hostnames = true tags = { Name = "aews-study" }}resource "aws_subnet" "..
다수의 Metric 조회하기 지난 글에서는 서버 한대의 평균 CPU 사용량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봤다.이번 글에서는 한대가 아닌 다수의 서버의 평균 CPU 사용량을 조회하는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. QueryDataMuliple APIAPI 서버 정보api_server = "https://cw.apigw.ntruss.com"API URI 정보api_url = "/cw_fea/real/cw/api/data/query/multiple"Ncloud API 링크: https://api.ncloud-docs.com/docs/management-cloudinsight-querydatamultiplepayload 데이터QueryData API 사용과 비슷하다. payload 데이터에 수집을 원하는 metric 정보를 ..
서버의 MEM, FileSystem 사용량 출력 앞 글에서 Cloud Insight API를 사용하여 서버의 평균 CPU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. 이번 글에서는 Cloud Insight API를 사용하여 서버의 MEM, FileSystem 사용량을 확인해 보자! 평균 CPU 사용량 출력을 하고나니, 그 외 Metric의 조회는 금방 할 수 있었다!!!! 1. Memory 사용량 조회 payload = { "timeEnd": 조회를 원하는 시간의 Timestamp 값, "timeStart": 조회를 원하는 시간의 Timestamp 값, "prodName":"System/Server(VPC)", "metric": "mem_usert", # 메모리 사용량 조회 "interval": "Min1", "aggr..
IaC란 Infrastructure as a Code로 코드를 작성하여 인프라를 구성하는것을 의미ex: 퍼블릭 클라우드의 경우, 직접 콘솔에 접속하여 VPC 생성 / Subnet 생성 / SG생성 / Instance 생성을 진행하지만 IaC를 사용하면 코드를 이용하여 콘솔에 접속하지 않고 간단하게 인프라 구성 및 클라우드 자원을 생성 할 수 있음 Terraform이란하시코프사에서 공개한 IaC(Infrastructure as a Code) 도구로, 현재 IaC 도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다양한 Provider를 제공하여 테라폼 문법 하나로 다양한 클라우드 인프라 및 리소스를 생성Provider를 통해 각 Target에 API를 호출하여 리소스를 생성하기 때문에 속도가 매우 빠름 실습 환경 ..
pipeline이란 소스코드 통합 / 빌드 / TEST / 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. jenkis pipeline 용어 파이프라인 : 전체 빌드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코드. 노드 node : 파이프라인을 실행하는 시스템. 스테이지 stage : 특정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의 정의. 스텝 step : 파이프라인의 특정 단계에서 수행되는 단일 작업을 의미. 구성 형태 pipeline script: 일반적인 방식이며 jenkins 파이프라인을 생성하여 shell script를 직접 생성하여 빌드 pipeline script from SCM: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, 사전 작성한 jenkinsfile을 형상관리시스템에 저장 / 빌드 시작 시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서 호출 Blue Ocean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